대인이 되자. 대인(大人)이 되자 귀함으로는 벼슬하지 않는 것보다 더 귀한 것이 없고, 부유함으로는 욕심 부리지 않는 것보다 더 부유한 것이 없다. 강함으로는 다투지 않는 것보다 더 강한 것이 없고, 현명함으로는 알지 못하는 것보다 더 현명한 것이 없다. 貴莫貴於不爵。富莫富於不欲。强莫强於.. 힐링 인생학/어울림 정신 2012.07.26
아름다운 덕목 아름다운 덕목(德目) 가장 현명한 사람은 늘 배우려고 노력하는 사람이고, 가장 겸손한 사람은 개구리가 되어서도 올챙잇적 시절을 잊지 않는 사람이다. 가장 넉넉한 사람은 자기한테 주어진 몫에 대하여 불평불만이 없는 사람이다. 가장 강한 사람은 타오르는 욕망을 스스로 자제할 수 .. 힐링 인생학/정신적 씨앗 2012.07.19
명리학의 氣質論 命理學의 氣質論 주희(朱熹)는 기질론(氣質論)에서 이르기를, "오행(五行)이란 그 질(質)은 땅에서 갖추어지며 기(氣)는 하늘에서 움직이는 것이다. 질(質)에 근거해 그 생기는 순서를 말한다면 水. 火 . 木 . 金 . 土이며, 수목(水木)은 양(陽)이고 화금(火金)은 음(陰)이다. 기(氣)에 근거해 ..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2.07.17
동양의 理와 氣의 개념 동양의 理와 氣의 개념 유교(儒敎)에서 이(理)는 본래 ‘구슬 옥(玉)’과 ‘마을 리(里)’가 합쳐진 형성문자로써 옥석(玉石)의 맥리(脈理)를 말하였다. 대체로 이(理)라는 개념은 서양의 ‘자연법(自然法)’과 같은 함의(含意)를 가지고 있다. 원래 이(理)라는 글자는 옥(玉)을 다듬는다는 ..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2.07.17
氣質의 개념. 氣質의 槪念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기(氣)를 운기(雲氣), 즉 구름이라 풀고 있는데, 은(殷)· 주(周) 시대(時代) 이전(以前)부터 기(氣)는 바람이나 구름을 포함한 기상(氣象)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 기상(氣象)과 계절(季節)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기(天氣)와 땅의 기운(..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2.07.17
십이운성에 대한 고찰. 十二運星에 대한 고찰. 十二運星의 성립과정으로 나타나는 旺相休囚는 명리학이론을 전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왕조의 성립과 교체 등을 뒷받침하고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기 위해 형이상학적인 부산물로 탄생하게 된다. 즉 戰國末期에서 秦漢代 등에 걸쳐 천명을 받아 새로운 왕조의 ..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2.07.17
삼명통회와 자평진전의 중화론. 『三命通會』의 中和論 『삼명통회(三命通會)』의 저자(著者) 만육오(萬育吾)는 오행(五行)은 편고(偏枯)해서는 안 되고 오직 중화(中和)의 기(氣)를 얻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중화(中和)되거나 왕상(旺相)하면 명(命)이 귀(貴)하고 복(福)되며 휴수사절지(休囚死絶地)에 있거나 격(格)도 ..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2.07.16
적천수천미의 중화론 滴天髓闡微의 中和論 『적천수(滴天髓)』의 원수산(袁樹珊) 서문(序文)에 이르기를, “사주(四柱)에서 오행(五行)이 왕(旺)하면 극(剋)하는 것이 좋고, 극도(極度)로 왕(旺)한 것은 설기(洩氣)해야 좋으며, 쇠자(衰者)는 생조(生助)해야 좋다. 그리고 사람은 후(厚)한 것과 박(薄)한 것이 있고 ..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2.07.16
연해자평의 중화론 淵海子平의 中和論 사주에서 관성(官星)이 태왕(太旺)하면 자연적으로 일간(日干)이 쇠약(衰弱)하니 이를 관중신경(官重身輕)이라고 하는데, 즉 관성(官星)이 강하며 아울러 일간(日干)이 약한 것이다. 사주학(四柱學)은 중화(中和)의 학문(學問)이라 치우치면 병(病)이 되는 바 통관(通關)..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2.07.16
유학의 중화론과 명리학 중화의 연관성 유학의 중화론과 명리학 중화의 연관성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치우침과 모자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한다. 평범함 속에 진실한 도리를 찾기 위해 중용지도란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때 중용(中庸)이란 조화를 추구하기 위해 어느 한쪽에 기울어지지 않고 지나치거나 모자람 없는 .. 여유당 다래헌/여유당과 만남 201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