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行에 대한 고찰 陰陽과 五行은 본래 각기 다른 유래의 성질을 가진 개념이다. 지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음양은 노자의 출생지인 남방 楚나라 문화권에서 유행했고 五行은 鄒衍이 거주했던 해안의 齊나라 문화권에서 주도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리고 음양은 우주발생의 기원을 설명할 때 쓰는 개념이므..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6.07
『여씨춘추』와 『회남자』에서 음양론 『呂氏春秋』에 이르면 天은 음양을 만들고 寒暑燥濕, 四時變化, 利를 하지 않는게 없고 害를 않는 게 없다. 성인께서 음양의 마땅함을 알아차리고 만물의 이로움을 弁別하고 이로서 更生한다. 그러므로 精神과 形象을 평안히 하고 年壽長을 얻는다. 라고 하고 음양론이 養生法에까지 영..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6.03
『역경』 십익에서 음양론 『十翼』 중의 음양론을 본 경우는 확실히 陰陽이란 말로 명시되어 있는 곳과 剛柔란 말로 표현하고 있는 곳이 있다. 이 剛柔와 陰陽論에 대해 생각해 보면 剛柔란 용어가 쓰여진 것은 『彖傳』에서 가장 많아 76回, 『小象傳』에는 15回, 『繫辭傳』의 14回 , 『說卦傳』의 4回, 『文言傳』..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6.03
『역경』에서 음양론 『易經』본문에서의 陰陽이란 것은 다만 그늘이나 양지의 뜻으로 밖에 안 쓰였으나 『十翼』중에는 음양이론이 대단히 명쾌하게 나타나 있다. 이 陰陽論을 보탬으로서 易은 新鮮味를 더하고 시대의 유행에 따를 수가 있었던 것이다. 陰陽은 원래 그늘, 양지, 寒暑의 氣란 것이었으나 전..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6.03
천부경 해석 天 符 經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天一一地一二人一三 一積十鉅無궤化三 天二三地二三人二三 大三合六生七八九運 三四成環五七一 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 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 一終無終一 천부경 해석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 우주만물은 하나一에서 비롯되나 이 하나는 하..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4.10
오행의 개념 오행의 개념 오행개념의 기원은 天의 기원설, 五方說, 五材說, 六府三事說 등이 있다. 天의 기원설 『홍범』에서는 하늘이 우왕에게 홍범구주를 내리셨다. 그 첫번째 것을 오행이라고 한다고 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오행의 기원에 관한 신화들이 만들어졌다. 그렇지만 그것들은 모두 오행..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4.07
고전에서 음양론 中國古典의 陰陽 『설문해자』제 11편 하 雲部에서는 음(霒)은 구름이 해를 가리는 것이다. 雲자를 합하고 今자를 음으로 한다. 단옥재(段玉裁)는 그에 대해 오늘날의 음양이라는 글자는 소전(小篆)에서 음양(霒昜)으로 쓰여졌다고 하였다. 또 같은 책 제 9편 勿部에서는 양(昜)은 연다는 ..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4.07
음양오행설의 발생 음양오행설의 발생 음양에 대한 관념은 그 기원이 불확실하다. 중국 고대 원시사회에서 ‘+’ ‘-’를 의미할 때의 음양이란 문자 이전에 하나의 의사소통을 위한 부호였다고 할 수 있다. 대체로 음양 관념의 기원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주역 기원설이다. 『莊子』「..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4.07
여씨춘추 中의 氣 『呂氏春秋』의 저자는 呂不韋(BC 290〜235)이다. 戰國時代 중국각지의 國王은 다투어서 名士를 모으는데 열을 올리고 있었다. 魏에 信陵君이 있고 楚에 春申君, 趙에 平原君, 齊에 孟嘗君이 있다고 말하듯이 主君 밑에 많은 名士, 食客이 모여 왔다. 呂不韋는 秦이 그렇지 않음을 부끄럽게 ..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3.26
氣에 대한 역사적 고찰 氣의 개념 1. 氣의 解字 氣라는 字는 『說文解字』(許愼撰 BC 147〜58年頃)에 의하면 氣란 客에게 芻米를 보내는 것이다, 또 氣와 同屬의 『气』에 관해서는 气는 雲氣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說文解字部首訂』에서는 氣의 모양은 구름과 같다. 由川에서 처음 나오는 것이 ..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