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의 역사적 개관 주역이 5經 중의 하나로서 국가 공인 교과서로 취급되었던 한대(漢代)의 역학은 '한역'이라 불렸다. 64괘를 1년의 역(曆)으로 배당하여 각 괘는 해당하는 계절·월·일을 지배했으므로(괘후설) 정치도 그 괘가 표시하는 이미지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고 여겼다. 한역은 맹희(孟熹)와 초연수(..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5.02.21
춘추번로에서 氣 『春秋繁露』에서 氣 『춘추번로』를 저술한 동중서는 기를 도덕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기의 근원으로 ‘元氣’를 제시하였는데 원기란 음양이 조화를 이룬 기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음양오행으로 나타난다. 그는 음양오행의 법칙을 천도로 보면서도 “양을 귀하게 여기고 음을 천하게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4.11.01
황제내경에서 氣 黃帝內經』에서 氣 기는 음양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 통일을 통해 생명활동을 영위한다.『內經』의 이론체계를 확립하는데 절대적 기여를 한 음양오행 이론에 의한 것으로 『內經』에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여러 조직의 구조는 모두 음양의 대립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4.11.01
12운성의 음생양사 . 양생음사설 陰干 12運星의 陰生陽死 ․ 陽生陰死說 음생양사 ․ 양생음사설은 오행을 음양에 관계없이 동일한 하나의 기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음과 양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로 보는 입장이다. 예컨대 양은 강하고 음은 부드럽다든가, 양은 기(氣)이고 음은 질(質)이라는 식의 구분을 하고 있다. 음양에..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28
12운성의 음양동생동사설 12運星의 陰陽同生同死說 오행은 음양에 관계없이 동일한 하나의 기로서 12운성 같은 곳에서 생하고 같은 곳에서 사한다는 이론이다. 이는 12운성 이론 자체는 인정하나 음간과 양간의 구분 없는, 즉 목, 화, 토, 금, 수 오행만의 12운성을 인정하는 학설이다. 이 학설의 이론적 배경은 오행..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28
음양의 조화와 균형 음양의 조화와 균형은 천지의 道와 동일하여 그 원리를 터득하여 대응하면 ‘萬事’가 어긋나지 않으니, 天은 우주 만물의 시비선악이 명백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그 사물에 각각 理法을 부여한다. 그리고 地는 사람들로 하여금 바르게 판단된 도리를 천하에 실행하게 하므로 과실이 없..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21
음양의 상대성 유교대사전에 나와 있는 음양과 오행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양이란 원래 태양의 向背를 가리키는 말로서 태양이 비치는 쪽을 양, 그 반대쪽을 음이라고 하였으나 후에 寒暖, 明暗 등 상반된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고, 이것이 추상화되어 일체 사물의 상호 대립되는 측..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20
일월오성 日 ‧ 月 ‧ 五星 일반적으로 星座 즉 별자리의 제반 변동사항을 통하여 人事를 점치는 점성가 또는 성명학자들이 제시하는 성좌로서 태양계의 별들 가운데 지구에 가장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星體는 해와 달과 水星, 金星, 火星, 木星, 土星이다.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축에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10
동양학적 氣의 개념 동양학적 氣의 개념 중국에서 기원전 123년에 작성된 淮南子의 天文訓에는 氣에 의하여 우주가 창조되었고, 氣의 변화가 만물을 창조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가장 오래된 의서인 黃帝內經에는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氣는 탄생하고 변화하는 모든 생명의 근본이 되는 흐름으로,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5.27
氣質의 개념 氣質의 槪念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기(氣)를 운기(雲氣), 즉 구름이라 풀고 있는데, 은(殷)· 주(周) 시대(時代) 이전(以前)부터 기(氣)는 바람이나 구름을 포함한 기상(氣象)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 기상(氣象)과 계절(季節)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기(天氣)와 땅의 기운(..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