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삼명통회와 자평진전의 중화론.

청화거사 2012. 7. 16. 09:55


『三命通會』의 中和論 


『삼명통회(三命通會)』의 저자(著者) 만육오(萬育吾)는 오행(五行)은 편고(偏枯)해서는 안 되고 오직 중화(中和)의 기(氣)를 얻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중화(中和)되거나 왕상(旺相)하면 명(命)이 귀(貴)하고 복(福)되며 휴수사절지(休囚死絶地)에 있거나 격(格)도 아니고 국(局)도 아니면 명(命)이 하천(下賤)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연해자평(淵海子平)』에도 실려 있는 말이다.


사주(四柱)에서 치우지지 않고 중화(中和)가 되어야 좋다는 말을 하고 있으니 치우친 사주(四柱)는 치우친 것이 병(病)이 되니 그 치우침을 바로 잡을 때에 귀(貴)하게 되고 너무 치우쳐서 일간(日干)이 무기(無氣)하거나 휴수(休囚)되면 비록 대운(大運)이나 세운(歲運)이 들어와 도와주어도 발복(發福)하기가 어렵게 된다. 사주(四柱)에는 격국(格局)이 그릇인데 치우치고 휴수(休囚)된 사주(四柱)는 격(格)이 미치지 못하여 결국 하천(下賤)하게 되는 것이다. 
  

인명(人命)의 영고득실(榮枯得失)은 모두 오행생극(五行生剋) 가운데 중화가 될 때 있으니 부귀영화(富貴榮華)는 팔자(八字)에서 중화(中和) 외에는 부귀하게 되기 어려운 것이다.“태과(太過)․ 불급(不及)은 모두 모두 길(吉)이 아니다. 태과(太過)는 재관(財官)이 사절(死絶)되면 이 사람은 외롭고, 불급(不及)됨은 재관(財官)을 감당하기 어려우니 이 사람은 예술(藝術)이나 조화(造化)가 되고 중화(中和)가 되면 귀(貴)하게 된다”고 하였다. 
 

 「벽연부(碧煙賦)」에 부귀영화(富貴榮華)가 모두 사주(四柱)의 중화(中和)에 있다고 하였는데, 사주(四柱)에 오행(五行)이 태과(太過)해서 이 태과(太過)한 것을 극제(剋制)함이 없는 자(者)는 빈천(貧賤)한 것이다. 불급(不及)해서 이 불급(不及)한 것을 생(生)함이 없으면 요절(夭折)한다. 마땅히 대운(大運)의 향배(向背)를 보아서 빈천(貧賤)을 결정하는데 용신(用神)과 배반(背叛)하는 운(運)으로 향하면 곤궁(困窮)하다고 판단하고 생(生)해 주는 운(運)을 만나면 귀(貴)하다고 단정한다.


편고(偏枯)된 사주(四柱)는 대운(大運)이 와서 잠시 좋을 줄은 몰라도 다시 휴수지(休囚地)에 들면 간난신고(艱難辛苦)하는 것이니 그 치우치거나 휴수(休囚)된 사주는 대운(大運)이나 세운(歲運)에서 휴수(休囚)된 사주(四柱)는 강하게 될 때, 그리고 편고(偏枯)된 사주(四柱)는 중화(中和)가 될 때 발복(發福)하는 사람을 많이 보았다. 
  

신왕(身旺)과 신약(身弱)이 있는데 신약(身弱)하면 비겁(比劫)과 인성(印星)으로 일간(日干)을 돕고, 일간(日干)이 비겁(比劫)이 왕(旺)하면 관성(官星)으로 극제(剋制)하며, 인성(印星)이 왕(旺)하면 재성(財星)으로 극제(剋制)하고 재관(財官)이 없으면 식상(食傷)으로 설기(洩氣)하여 중화(中和)를 이루는데, 『삼명통회(三命通會)』의 「무함촬요(巫咸撮要)」에 이르기를, “오행(五行)은 갖추되 중화(中和)됨이 중요하고, 하나라도 치우치면 불가(不可)한 것이니 혹 부족(不足)하면 돕고 혹 태과(太過)하면 억제(抑制)하고 중요함은 조화(調和)와 중화(中和)가 되면 길(吉)하다”고 하였다.


오행(五行)은 중화(中和)를 갖출 것을 요구하는 것이니 한 가지 오행(五行)이라도 치우치면 불가(不可)하다고 할 것이다. 사람의 영고득실(榮枯得失)은 사주(四柱)의 생극(生剋) 가운데 있는 것이라 사람의 부귀영화(富貴榮華)가 사주팔자(四柱八字)의 중화(中和)의 이치를 넘지 않는 것이니 사주(四柱)의 중화(中和)를 강조하였다. 사주(四柱)가 신약(身弱)하면 돕는 것이고 신왕(身旺)하면 덜어내어 중화(中和)가 될 때 귀(貴)하게 되는 것이다.

『子平眞詮』의 中和論 

 사주팔자(四柱八字)의 여덟 자(字) 중에 한 글자가 능히 사주의 격국(格局)을 성격(成格)으로 만들 수도 있고 파격(破格)으로 만들 수도 있다. 희신(喜神)은 많이 있을 필요도 없이 하나만 있어도 모든 일이 다 구비되고, 기신(忌神)도 많이 있을 필요가 없이 하나만 있어도 온갖 해로움이 다 있는 것이다. 사주(四柱)의 한 글자가 오행을 중화(中和)시키기도 하고 막힌 것을 유통시키기도 하고 병(病)든 것을 치료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우리는 용신(用神)이라고 한다. 용신(用神)이 건왕(健旺)하면 일장당관(一將當關)이 되어 일간에게 큰 힘이 되지만 용신(用神)이 허약(虛弱)하면 자고불가(自顧不暇)가 되어 어찌 자기 몸을 돌보기 바쁜 사람이 남을 도울 수 있겠는가? 그래서 용신(用神)이 치우치지 않고 불급(不及)하지 않고 건왕(健旺)해야 부귀겸전(富貴兼全)하는 것이다. 
  

그래서 서락오(徐樂吾)는 『자평진전(子平眞詮)』「음양(陰陽)과 생극(生剋)을 논(論)함」에서 “무릇 팔자(八字)는 반드시 중화(中和)가 되어야 귀(貴)하게 됨이니 한쪽으로 오행(五行)이 치우쳐 있는 사주(四柱)가 조절(調節)하는 신(神)이 없다면 비록 성격(成格)되어도 또한 좋지 않은 것이다”고 함으로써 『연해자평(淵海子平)』에서 언급한 중화(中和)를 설명하였다.

'여유당 명리학 > 전문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학의 氣質論  (0) 2012.07.17
십이운성에 대한 고찰.  (0) 2012.07.17
적천수천미의 중화론  (0) 2012.07.16
연해자평의 중화론  (0) 2012.07.16
음양오행과 육십갑자.  (0) 201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