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의 역학적 의미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의 단오풍습은 『금문의 비밀』에 나온 대로라면 그 뿌리가 고조선 한 곳이라는 것만 알면 된다고 본다. 『주역천문(周易天文)』을 해석한 율곤학회의 이개춘(李開春)의 단오(端午)에 대한 의미를 인용해 보기로 하겠다. 오(午)는 BC 2333년 천문도 상의 하지점(夏至.. 여유당 동양학/술수학 2013.06.23
음양의 조화와 균형 음양의 조화와 균형은 천지의 道와 동일하여 그 원리를 터득하여 대응하면 ‘萬事’가 어긋나지 않으니, 天은 우주 만물의 시비선악이 명백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그 사물에 각각 理法을 부여한다. 그리고 地는 사람들로 하여금 바르게 판단된 도리를 천하에 실행하게 하므로 과실이 없..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21
인문학이 살아야 건강한 사회가 된다. 인문학이 살아야 건강한 사회가 된다.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 중에 시급하게 고쳐야할 부분이 있다면 정신적 피폐에서 오는 좌절감이다. 이런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현재 진행형으로 있다. 어쨌든 건강한 사회로 가는 길은 인문학을 살려 사회적 순기능과 함께 정신적으로 풍요로.. 여유당 다래헌/여유당과 만남 2013.06.20
음양의 상대성 유교대사전에 나와 있는 음양과 오행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양이란 원래 태양의 向背를 가리키는 말로서 태양이 비치는 쪽을 양, 그 반대쪽을 음이라고 하였으나 후에 寒暖, 明暗 등 상반된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고, 이것이 추상화되어 일체 사물의 상호 대립되는 측..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20
공망(空亡)의 작용 공망의 작용 사주에서 십간과 십이지를 합하여 간지(干支)라고 한다. 음은 음, 양은 양끼리 결합하므로 십간과 십이지지의 상호관계 속에 60갑자가 나온다. 즉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가 서로 짝을 이루며 10개의 천간 단위로 1순(旬)을 구성해 나가면서 육십갑자를 이루게 된다. 이때 각 .. 여유당 다래헌/명리학 두드림 2013.06.14
다우징으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우징은 서양에서 오래전부터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물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만들어 이용되어 왔다. 유럽에서는 이 방법을 확대하여 모든 물질과 생체가 방사하는 고유의 파동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관심있는 다수의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여유당 컨텐츠/신과학 2013.06.14
다우징으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우징으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우징은 서양에서 오래전부터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물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만들어 이용해 왔다. 더구나 유럽에서는 이 방법을 확대하여 모든 물질과 생체가 방사하는 고유의 파동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관심있.. 여유당 다래헌/여유당과 만남 2013.06.14
재다신약 사주 재다신약 사주 사주의 구성 체계는 태어난 생년, 월, 일, 시의 천간과 지지의 8글자를 합쳐 사주팔자라 한다. 한 사람의 운명을 추론하기 위해서는 일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간지와 상관관계를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분석해야 한다. 여러 가지 형태의 사주가 존재하는데 재다신약 사주는 재.. 여유당 다래헌/명리학 두드림 2013.06.10
일월오성 日 ‧ 月 ‧ 五星 일반적으로 星座 즉 별자리의 제반 변동사항을 통하여 人事를 점치는 점성가 또는 성명학자들이 제시하는 성좌로서 태양계의 별들 가운데 지구에 가장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星體는 해와 달과 水星, 金星, 火星, 木星, 土星이다.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축에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6.10
五行에 대한 고찰 陰陽과 五行은 본래 각기 다른 유래의 성질을 가진 개념이다. 지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음양은 노자의 출생지인 남방 楚나라 문화권에서 유행했고 五行은 鄒衍이 거주했던 해안의 齊나라 문화권에서 주도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리고 음양은 우주발생의 기원을 설명할 때 쓰는 개념이므..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