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과 틀림 다름과 틀림 누군가에게 길을 묻었습니다. 분명 같은 곳을 묻는데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대답합니다. 술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길을 물으면 이렇게 대답한다고 합니다. "저쪽 코너에 호프집이 있고 거기서 오른쪽으로 돌면 포장마차가 보여요. 거기서 300m 직진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번.. 힐링 인생학/어울림 정신 2017.03.20
음양오행설의 시대별 특성 음양오행설의 시대별 특성 음양오행설은 전국시대에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생명력의 발전 ․ 쇠퇴 ․ 정리의 과정을 겪는다. 전국시대로부터 진대(秦代) 사이는 음양오행설의 태동기이다. 추연으로부터 체계화되기 시작한 음양오행설은『관자』의「..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3.13
오행의 의미 오행의 의미 오행이란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말한다. 동양에서는 오행을 물질의 구체적 재료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대 인도에서도 만물은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4대요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그리스의 철학자인 탈레스..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3.06
오행의 기원 오행의 기원 오행은 음양과 함께 우주자연과 인사를 설명하는 핵심개념의 위상을 가진다. 이러한 경향은 고대로부터 이어져왔던 오행 개념을 전국시대의 추연(鄒衍)이 체계화함으로써 촉발되었다. 한대(漢代)에 이르러 오행의 활용범위는 우주는 물론 인간의 심리와 육체 등의 미세한 영..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2.27
기(氣)와 명리학 기(氣)와 명리학 기(氣)는『설문해자』에서 추미(芻米)로 풀이한다. 손님에게 대접하려고 밥을 짓는다는 뜻이다. 밥을 지을 때 솥에서 수중기가 피어오르는데 여기서 기의 어원이 비롯된 것으로 전해진다. 문자학(文字學)으로 보면 기(氣)는 기(气)와 미(米)로 되어 있다. 기(气)는 ..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2.20
기(氣)의 작용 기(氣)의 작용 동양에서는 기(氣)를 “우주의 모든 곳을 가득 채우고 있는 원천적인 실체”로 본다. 기는 만질 수도 없고 냄새도, 형체도, 보이지도 않아 인간의 지식으로 쉽게 설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우주만물의 근원으로서 운동변화의 주체이다. 우주 공간에는 무한한 힘..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2.13
음양의 원초적 의미 음양의 원초적 의미 음양의 원초적 의미는 문자학(文字學)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설문해자(說文解字)』제11편에 음(霒)자는 구름이 해를 가린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음(霒)자는 나중에 음(侌)자로 간소화 되었다. 음(侌)자는 운(雲)자에서 뜻을 취하고 금(今)자에서 ..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2.03
음양의 개념 음양의 개념 태초의 우주는 무한대의 진공상태였다. 속이 텅 빈 무(無)의 상태로 이를 무극(無極)이라 한다. 무극에서 꿈틀거리며 적극적인 변화를 모색하다 태극(太極)이라는 형태로 진화되었다. 태극에서 음(陰)과 양(陽)이라는 두 가지 기운이 생성된다. 음과 양은 자연계에 나타난 두 ..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1.31
음양의 기원 음양의 기원 음양에 대한 관념은 그 기원이 불확실하다. 음양은 태극의 1차 변화이다. 전국시대를 지나면서 음양은 자연과 인간을 설명하는 권위 있는 도구로써 위상이 확립되었다. 음양은 우주만물에 존재하는 두 기운으로 서로 대립하면서도 일정한 조건 아래서 상호영향을 주고받는다.. 여유당 다래헌/역학 칼럼 2017.01.23
임인(壬寅)일주의 분석 임인(壬寅) 일주의 분석 천간과 지지가 상호 배합으로 글자들을 포갬으로써 완벽한 조합의 임인(壬寅)이 생성된다. 임(壬)은 임(任) 자의 본의를 담고 있다. 가로 3획은 수(水)를 의미하는 고대 문자로 수를 취하여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인(寅)은 씨앗이 터져 싹이 땅 밖으로 옮겨져 .. 여유당 다래헌/명리학 두드림 201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