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학적 氣의 개념 동양학적 氣의 개념 중국에서 기원전 123년에 작성된 淮南子의 天文訓에는 氣에 의하여 우주가 창조되었고, 氣의 변화가 만물을 창조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가장 오래된 의서인 黃帝內經에는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氣는 탄생하고 변화하는 모든 생명의 근본이 되는 흐름으로,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5.27
氣質의 개념 氣質의 槪念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기(氣)를 운기(雲氣), 즉 구름이라 풀고 있는데, 은(殷)· 주(周) 시대(時代) 이전(以前)부터 기(氣)는 바람이나 구름을 포함한 기상(氣象)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 기상(氣象)과 계절(季節)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기(天氣)와 땅의 기운(..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5.27
동양의 理와 氣의 개념 동양의 理와 氣의 개념 유교(儒敎)에서 이(理)는 본래 ‘구슬 옥(玉)’과 ‘마을 리(里)’가 합쳐진 형성문자로써 옥석(玉石)의 맥리(脈理)를 말하였다. 대체로 이(理)라는 개념은 서양의 ‘자연법(自然法)’과 같은 함의(含意)를 가지고 있다. 원래 이(理)라는 글자는 옥(玉)을 다듬는다는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