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 符 經 해석 天 符 經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天一一地一二人一三 一積十鉅無궤化三 天二三地二三人二三 大三合六生七八九運 三四成環五七一 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 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 一終無終一 천부경 해석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 우주만물은 하나一에서 비롯되나 이 하나는 하..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3.05.27
12運星의 개념 12운성법(十二運星法)은 불교의 윤회사상을 반영한 것으로 인생 드라마의 대본이다. 만물이 생겨나서(生), 자라고(長), 움츠리다(消), 소멸(滅)되어가는 과정을 12단계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10간이 우주개체의 변화를 표시한 것이라면 12운성은 우주의 개체가 12지지(十二地支)의 공간을 순..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3.05.25
한국 명리학의 역사 우리나라의 경우는 삼국시대부터 陰陽관념이 정착되기 시작하였고 고려조에 와서는 천문기상과 관련된 五行관념이 등장하여 政事에 반영하였음을 각각 삼국사기와 고려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특히 司天大博士를 지내고 육진병법의 대가였던 통일신라의 김암(金巖)은 당나라에 유학하..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