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번로에서 氣 『春秋繁露』에서 氣 『춘추번로』를 저술한 동중서는 기를 도덕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기의 근원으로 ‘元氣’를 제시하였는데 원기란 음양이 조화를 이룬 기로서 만물의 근원으로 음양오행으로 나타난다. 그는 음양오행의 법칙을 천도로 보면서도 “양을 귀하게 여기고 음을 천하게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4.11.01
황제내경에서 氣 黃帝內經』에서 氣 기는 음양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 통일을 통해 생명활동을 영위한다.『內經』의 이론체계를 확립하는데 절대적 기여를 한 음양오행 이론에 의한 것으로 『內經』에서는 인체를 구성하는 여러 조직의 구조는 모두 음양의 대립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고 .. 여유당 동양학/역리학 2014.11.01
이름의 존엄성과 가치 이름의 존엄성과 가치 세상에 존재하는 삼라만상의 모든 것에는 각기 이름이 붙여져 있다. 형태를 갖춘 사물에서 시작하여 오관으로 작용할 수 없는 추상적인 관념 . 사고 . 이념 . 사상 . 개념에 이르기까지 각기 이름이 없는 것이 없다.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기고 호랑이는 죽어 가죽.. 어울림 성명학/브랜드 네이밍 201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