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남자 中의 氣 『淮南子』는 漢高祖의 孫子, 淮南王 劉安에 의해서 수합되었다. 淮南王의 밑에서 많은 賓客이 모였고, 景王 말년에 이 書籍을 만들었다. 원래 內書 21篇, 外書 33篇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內書 20편만 남았다. 『呂氏春秋』의 영향을 받아서 지식의 總合化를 기도하고 있다. 머릿글에 原動.. 카테고리 없음 2013.03.26
여씨춘추 中의 氣 『呂氏春秋』의 저자는 呂不韋(BC 290〜235)이다. 戰國時代 중국각지의 國王은 다투어서 名士를 모으는데 열을 올리고 있었다. 魏에 信陵君이 있고 楚에 春申君, 趙에 平原君, 齊에 孟嘗君이 있다고 말하듯이 主君 밑에 많은 名士, 食客이 모여 왔다. 呂不韋는 秦이 그렇지 않음을 부끄럽게 ..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3.26
氣에 대한 역사적 고찰 氣의 개념 1. 氣의 解字 氣라는 字는 『說文解字』(許愼撰 BC 147〜58年頃)에 의하면 氣란 客에게 芻米를 보내는 것이다, 또 氣와 同屬의 『气』에 관해서는 气는 雲氣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說文解字部首訂』에서는 氣의 모양은 구름과 같다. 由川에서 처음 나오는 것이 .. 여유당 동양학/음양오행론 2013.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