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의 수양론 『書經』에서 修養은 하늘의 덕을 자기 몸에 체현하여 天命에 대응하는 天子에만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天子의 지위나 정치를 얻을 수 없었던 孔子가 이것을 개개인의 내면적인 것으로 끌어내리면서 天子의 德과 修養이 일반인에게까지 확대된 것이다. 그래서 『大學』에서는 이.. 여유당 동양학/술수학 2013.10.09
행위로 관상을 보다 행위로 관상을 보다 관상과 관련된 영화가 인기를 끌고 있다.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는 과정을 관상술사와 연관하여 풀어낸 내용이다. 명(明)나라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후사를 정할 때 관상에 자손 복이 없는 넷째아들 태종(太宗) 대신에 자손 복이 많은 손자 혜제.. 여유당 동양학/술수학 2013.10.08
왕상휴수사와 십이운성(십이운기)의 비교 왕상휴수사와 십이운기를 비교하기에 앞서 음양론에서 음생양사(陰生陽死) ․ 양생음사(陽生陰死)와 양극즉음생(陽極卽陰生) ․ 음극즉양생(陰極卽陽生)에 관하여 살펴보면 음생음사와 음생양사라 함은 양이 살아나면 음이 죽고 음이 살아나면 양이 죽는다는 것을 말한다. 즉 새.. 여유당 명리학/전문과정 201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