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상생(相生) . 상극(相剋) 원리
五行 역시 陰陽論에 앞서 우 임금 때 『書經』洪範편에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이 때 제일 범주를 오행이라 함으로써 “하늘은 우에게 홍범구주를 내려 윤리가 베풀어지게 되었다. 홍범의 첫째는 오행이니 水 火 木 金 土이다”로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의 水는 純陰의 상태를 말하고, 木은 純陰 가운데에서 최초로 태어난 陽을 말하며, 火는 陽이 자랄 대로 자라서 純陽인 상태를 말하고, 金은 순양 가운데에서 최초로 태어난 陰을 말한다.
새로 태어난 陰은 차츰 자라서 순음이 되고 陰이 극하면 그 안에서 陰을 낳으며, 그 陰이 차츰 자라 純陰이 된다. 이것을 순서대로 표시하면 水 木 火 土 金 水로 되풀이가 되니 相生이라고 한다. 이렇게 보면 오행은 음양과 다른 것이 아니며, 음양의 변화에 의한 生生不息을 여러 각도에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陰陽과 五行은 동양사상의 핵심을 이룬다. 이것은 우주만물의 현상과 이치를 관찰해서 나타낸 개념이다. 음양과 오행을 다른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이 이론들의 원리에 의하여 우주만물의 生成과 消滅 그리고 變化를 해석해 낼 수 있다. 음양오행의 개념을 동양의 우주론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여러 문헌을 통해 탐색해보면, 중국의 상고시대에 이미 大宇宙의 생성과 변화에 대한 象數原理로부터 그 진리체계를 갖추게 되었으며, 伏羲氏 이후 文王, 周公, 孔子를 거쳐 오늘날의 역학체계가 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五行이란 대우주가 생성되기 이전의 한 통일체 즉 太極(無極)에서 陰과 陽이라는 두 가지 기운이 갈라지게 되었고, 음양은 다시 각각 分合作用을 일으킴으로써 다섯 개의 새로운 성질이 발생되는데 이것이 木 火 土 金 水의 오행이다.
四柱命理學에서 陰陽五行은 十干 十二支를 통해 표현되고 있는데 十干은 甲 乙 木, 丙 丁 火, 戊 己 土, 庚 辛 金, 壬 癸 水로 되어 있고, 이중 甲 丙 戊 庚 壬은 陽의 기운을 지닌 陽干이라고 하고, 乙 丁 己 辛 癸는 陰의 기운을 가진 陰干이라 한다. 이는 甲은 陽木이고 乙은 陰木이며, 丙은 陽火이고 丁은 陰火이며, 戊는 陽土이고 己는 陰土이며, 庚은 陽金이고 辛은 陰金이며, 壬은 陽水이고 癸는 陰水라는 것으로 十干을 陰陽五行과 연결시켜 놓은 것이다. 地支인 十二支 역시 甲과 寅, 乙과 卯, 丙과 午, 丁과 巳, 戊와 辰 戌, 己는 丑 未, 庚과 申, 辛과 酉, 壬과 子, 癸와 亥를 연결하여 陰陽五行으로 구분하게 되었다.
地支에서 子와 亥, 巳와 午는 體와 用이 바뀌어져 사용되어 子水는 陽의 형체를 지녔지만 사용할 때에는 陰의 기능을 발휘하고, 亥水는 陰의 형체를 지녔지만 사용할 때에는 陽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巳와 午도 마찬가지로 巳의 體는 陰이지만 用은 陽이고 午의 體는 陽이지만 用은 陰이 되어 사용한다. 五行간의 상호 도움을 주고받은 것이 相生이고, 서로 剋하려 하는 것이 相剋이다.
또한 生은 相生, 剋은 相剋이다. 相生에는 서로 資生하고 촉진하는 의미가 있고, 相剋에는 서로 제약하고 剋勝하는 의미가 있다. 사물의 생장, 발전, 변화, 쇠퇴 등의 과정은 각 단계가 독립적이거나 연관성이 없는 과정이 아니고, 서로 자생하게 하고 촉진하게 하며 동시에 서로 제약하거나 剋勝하는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相生의 작용이 없으면 사물은 존재할 수 없고, 사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相剋도 있을 수 없다. 또한 相剋이 없으면 자극이 없게 되어, 사물이 발전할 수 없고 존재를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오행의 相生과 相剋은 자연계의 운동 변화의 일반법칙이다. 五行은 그 본체는 하나이나 각각 양면성을 갖고 연계되어 있는 관계성을 가진 역동적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相生 중에서는 相剋性이 포함되어 있고 相剋 중에서는 相生性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相生相剋은 일체의 만물이 서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조건이다. 상호작용, 상호협조의 기초 위에서만 만물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유당 동양학 > 음양오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의 승모(乘侮) (0) | 2012.05.06 |
---|---|
오행의 상극(相剋) (0) | 2012.05.06 |
오행의 상생(相生) (0) | 2012.05.04 |
동양학적 氣의 개념. (0) | 2012.05.03 |
음양오행론 (0) | 201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