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재론 三才論 일반적으로 생명을 지닌 有機物과 非活性의 無機物을 포괄하는 만물이란 단어는 지구상의 모든 존재자를 일컫는다. 만물이 지구상에 존재한다면 지구는 지구상에 존재하여 天의 공간으로 둘러싸여 있어 결국 만물의 존재는 천지의 존재를 전제로 할 때만 성립될 수 있다. 따라서 .. 여유당 동양학/술수학 2013.06.24
『초사』속의 역학적 함의 『초사』는 초(楚)나라의 가사(歌辭)라는 뜻이다. 『초사』의 작자로는 굴원이 대표적이다. 그는 『초사』의 창시자이면서 가장 중요한 작가이다. 『초사』에는 여러 편의 글들이 적혀 있으나 학계의 연구로 여러 작품 중 「이소(離騷)」, 「구가(九歌)」, 「천문(天問)」, 「구장(九章)」 .. 여유당 동양학/술수학 2013.06.23
단오의 역학적 의미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의 단오풍습은 『금문의 비밀』에 나온 대로라면 그 뿌리가 고조선 한 곳이라는 것만 알면 된다고 본다. 『주역천문(周易天文)』을 해석한 율곤학회의 이개춘(李開春)의 단오(端午)에 대한 의미를 인용해 보기로 하겠다. 오(午)는 BC 2333년 천문도 상의 하지점(夏至.. 여유당 동양학/술수학 2013.06.23